본문 바로가기
  • 주니어 개발자의
    RESTful 성장기

spring boot7

Spring Boot JPA Table 생성 오류 오늘의 Trouble AWS EC2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drop, create table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는 문제 발생. 원인 및 해결 로컬에서는 h2를 사용하고 있으며, AWS EC2에서는 mysql을 사용하고 있다. h2와 mysql의 예약어가 달라서 발생한 문제였다. option, desc 등 변수명을 구체화함으로써 예약어를 피할 수 있게 조치를 취했다. 2022. 6. 20.
Spring Boot에서 JPA Entity 테이블 생성 이슈 엔티티 클래스에 대한 모든 설정이 마무리 되었으나, 프로젝트 실행 시 DDL 실행 및 테이블 생성이 되지 않음. 원인 엔티티 클래스가 위치한 domain 패키지의 위치가 프로젝트 실행 클래스(XXXApplication)보다 상위에 있어 ComponentScan 기본 범위에 포함되지 않음. com.[project] XXXApplication.java domain controller service ... 해결 domain 패키지의 위치를 프로젝트 실행 클래스(XXXApplication)와 동일한 Depth로 이동시켜줌 H2 사용을 위해 H2 (Embedded) 모드로 로컬에 DB를 생성해준 뒤, H2 (Server)로 접속하여 DB 연결 application.yml 에서 url 수정: jdbc:h2:t.. 2021. 9. 14.
Spring Boot 자동 설정 오랜만에 다시 돌아온 주인장이라고 할 수 있겠다. 즈아, 바로 전 시간에는 의존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오늘은, 스프링 부트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인 자동설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 자동설정이란? Spring MVC를 사용해 프로젝트를 개발한 경험이 있다면, 아무리 간단한 웹 어플리케이션이라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여러 가지의 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러나, Spring Boot가 제공하는 자동설정은 웹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수많은 Bean들을 등록해준다. 그 비밀은 바로,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시 기본으로 제공되는 메인 클래스의 @SpringBootApplication 덕분이다. @SpringBootApplication 어노테이션 안에는 다양한 설정 관련 어노테이션이.. 2021. 8. 18.
의존성 관리 이번 시간에는 스프링 부트이 어떻게 의존성을 관리하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 핵심 요소 요소 기능 Starter 스프링이 제공하는 특정 모듈을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된 라이브러리 의존성을 해결한다. AutoConfiguration Starter를 통해 추가한 모듈을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된 Bean 설정을 자동으로 처리. Actuator 스프링 부트로 개발된 시스템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 스프링 부트는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혹은 생성 이후) 사용하고자 하는 모듈을 선택해 의존성을 설정할 수 있다. 기존에 스프링에서는 모듈 하나를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의존성을 모두 찾아 설정해줘야 했다. 스프링 부트는 starter를 통해 어떤 라이브러리가 필요하고, 어떤 버전을 사용해야 .. 2021. 8. 9.
Spring Boot 프로젝트 구조 지난 게시글에서는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오늘은 생성된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 구조 1. src/main/java 일반적인 .java 소스들이 위치한다. 2. src/main/resources 자바 소스를 제외한 XML, properties 파일들이 등록된다. src/main/resources 하위에는 static, templates라는 폴더 2개와 application.properties라는 프로퍼티 파일이 하나 존재한다. 1. src/main/resources/static HTML과 같은 정적 웹 리소스가 등록되는 폴더이다. 2. src/main/resources/templates Thymeleaf와 같은 템플릿 기반 웹 리.. 2021. 8. 7.
Spring Boot 프로젝트 만들기 오늘은 Spring Boot 첫 게시글을 올리려 한다. Spring Boot를 시작하기 위해선 프로젝트를 생성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은 그 시작인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STS(Spring Tool Suite) 플러그인 설치 STS를 직접 설치해서 사용한다면 문제될 것 없지만, Eclipse를 통해 스프링을 사용하려면 스프링 전용 개발 도구인 STS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한다. 1. [Help] → [Eclipse Marketplace...] 메뉴를 선택한다. 2. 검색창에 'sts'를 입력후 검색한다. 3. STS에 해당하는 플러그인의 INSTALL을 눌러 설치를 진행한다. 4. 인증 관련 화면이 뜨면 버튼을 누르고 버튼을 눌러 마무리한다. 5. 설치가 마무리 되면 Ec.. 2021. 8. 5.
Web programming에 봄이 왔다! Spring이란? 1. Spring 개념 - Spring Framework를 흔히 Spring이라 부른다. -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이다. -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로 사용되고 있다. 2. Spring 특징 IOC (Inversion of Control) - 해석하면 제어의 역전이라 말한다. 객체의 생성과 생명주기 관리에 대한 제어권을 개발자가 아닌 컨테이너에게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 컨테이너란, 객체를 생성하고 객체간의 의존성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곳을 말한다. DI (Dependency Injection) - IOC와 함께 언급되는 개념으로, 객체에 의존성을 주입하는 것을 말한다. - A라는 객체에서 .. 2021.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