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설정] DispatcherServlet
1-1. XML 설정
DispatcherServlet은 내부적으로 스프링 컨테이너를 생성한다. 따로 초기화를 해주지 않으면 웹 어플리케이션의 /WEB-INF/ 디렉터리에 위치한 [서블릿 이름]_servlet.xml 파일을 스프링 설정 파일로 사용한다.
한 개 이상의 설정 파일을 사용해야 하거나 설정 파일 이름이 [서블릿 이름]_servlet.xml 형식이 아닌 경우, contextConfigLocation 초기화 파라미터로 설정 파일을 지정하면 된다.
contextConfigLocation 의 초기화 파라미터인 설정 파일은 콤마, 공백, 탭, 줄 바꿈, 세미콜론을 이용해 구분한다. 각 설정 파일의 경로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루트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한다. "file:"이나 "classpath:" 접두어를 이용해 로컬 파일이나 클래스패스에 위치한 파일을 사용할 수도 있다.
1-2. @Configuration 클래스를 이용한 설정
contextClass 초기화 파라미터는 DispatcherServlet 스프링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 사용할 구현 클래스를 지정한다. @Configuration을 사용한 자바 설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AnnotationConfigWebApplicationContext 클래스를 사용하도록 contextClass의 초기화 파라미터를 지정해줘야 한다. 또한, contextConfigLocation의 초기화 파라미터는 @Configuration 클래스의 완전한 이름(경로 포함)을 지정해야 한다.
2. 인코딩 필터 설정
스프링에서는 요청 파라미터의 캐릭터 인코딩을 지정할 수 있는 서블릿 필터인 CharacterEncodingFilter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요청 파라미터의 인코딩 처리를 위한 별도의 코드를 작성할 필요가 없다.
해당 설정들은 web.xml 파일에 설정한다.